오늘은 소흉근(작은 가슴근, pectoralis minor)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소흉근은 저번 시간에 포스팅한 대흉근의 밑에 위치해있습니다. 같은 흉근이라 비슷할 것 같지만 차이가 있습니다. 

알아보겠습니다!

 -기시(이는곳, origin) - 제 3~5 늑골(갈비뼈, rib)

 

 

 

 -정지(닿는 곳, insertion) - 오구돌기(부리돌기, coracoid process)의 내측면

 

 

 

 

 -작용(actions): 견갑골의 하강(내림) 전인(내밈), 제3~5 늑골(갈비뼈, rib) 올림

 

 

소흉근은 견갑골의 부리 돌기에 강하게 붙어있으며 가슴 우리 앞에서 견갑골을 위한 밧줄과 같은 기능을 합니다. 소흉근은 몸무게나 외력이 팔에 놓일 때 어깨를 앞쪽으로 안정시켜주며 팔로 본인의 몸을 푸시업 하면서 들어 올릴 때 몸통에 대해 견갑골을 고정시키기 위해 전거근과 협력하여 작용합니다. 

견갑골 고정은 의자에서 몸을 들어 올리거나 바닥에서 팔굽혀 펴기를 할 때 필요하며 회전근개 중 하나인 견갑하근과 함께 팔 이음 뼈를 동적으로 안정시키고 자세를 유지시켜주는 역할을 합니다.

 

또 다른 기능으로는 이차적인 호흡근으로 작용합니다. 어깨를 고정하고 제3~5 늑골을 올리며, 이 근육은 가슴 우리를 팽창시키고 가슴 안 공간을 늘려줍니다. 이 기능 시 소흉근은 횡격막,  외 늑간근, 사각근, 전거근, 후거 근, 상후 거근, 그리고 요방형근과 함께 협력하여 작용합니다. 이 모든 근육들은 가슴 우리에 부착부위를 가지고 호흡곤란 중에 가슴 팽창을 위해 동원되는 근육들입니다. 특히, 상흉부의 흉식호흡에 보조근으로 소흉근이 적극적으로 관여하는데 소흉근은 안정적으로 숨 쉴 때는 거의 반응하지 않으며, 아주 큰 흡기에서 보조근으로 관여합니다.

둥근어깨(라운드 숄더  round shoulder)

소흉근의 문제로 자세적인 문제가 나타나기 시작하면 둥근어깨 상완 골도의 축 이동 더 나아가서는 흉추의 후만 그다음은 경추와 골반의 문제까지 여러 가지 많은 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습니다. 즉 안 좋은 자세가 미치를 영향은 매우 크다는 것입니다.

 

최근 현대사회의 문제로 많이 나타나는 자세적인 요인으로 볼때 소흉근의 긴장과 과사용은 둥근 어깨(라운드 숄더  round shoulder)의 한 원인이 될 수 있다. 소흉근은 컴퓨터 작업, 운전, 밀기, 그리고 들어 올리기와 같은 몸 앞쪽에서 반복적인 활동을 하는 사람들에게 많이 나타나기 때문인데요. 이 소흉근의 짧아지면 오구 돌기 부분이 앞으로 당겨져서 견갑골의 전인 상태가 되고 이때 상완은 둥근 어깨의 형태로 변화하며 상완골 두는 내회전의 우세로 인해 상완 골도 중심축이 이동할 수도 있습니다. 소흉근의 단축은 좋이 않은 상황을 많이 야기하는데 위치적인 특징으로 인해 혈관과 신경의 폐색을 일으키며, 견갑골의 움직임을 제한해서 견갑골과 상완골의 균형적인 움직임을 망가뜨릴 수 있다. 결과적으로 견관절의 완전 굴곡과 외전, 외회전을 제한한다. 이럴 시 나타나는 자세가 보통 둥근 어깨(라운드 숄더  round shoulder)이며, 또한 이때 견갑골의 하각이 들리는  scacpuar tipping을 일으키기도 합니다.

 

통증의 양상

소흉근의 근막통증증후근을 알아보면 위 사진과 같다. 보통 X로 표시된 곳에 통증유발점(트리거 포인트 trigger point)이 많이 나타나며(물론 치료사는 손으로 촉진하여 잡아내는 것이 좋다.) 방사통은 빨간색으로 나타내었다.

소흉근의 팔의 뒤로뻗거나 올리기가 힘들며 어깨 앞쪽에 쑤시는 통증이 나타날수있는데 이는 소흉근의 긴장과 어깨의 전인으로 견갑골과 상완골의 위치가 정상 위치에서 벗어나게 되고 이 위치에서 견관절 거상 시 어깨 전면에 통증이 나타날 수 있다. 또 다른 통증 양상으로는 숨을 크게 들이마시면 가슴이 따끔따끔하고 팔과 손가락이 저릴수있다. 이는 위에서 언급한 위치적인 특징이 한몫하는데 오구돌기에 붙은 소흉근의 건 아래로 액와 통 맥과, 상완신경총의 구조물들이 빠져나가기 때문이다. 소흉근이 심하게 단축되면 근육 폐색으로 인해 보통 상완, 전완 내측과 3~5번째 손가락에 통증과 저리는 양상을 보이기도 한다. 또한 액와 동맥의 연결 분지가 손목의 요골동맥에까지 이르게 되어 소흉근의 단축성 긴장은 동맥을 압박하여 혈관 소실로 나타나고 이는 손이 차가워지거나 동맥의 수축력이 저하되기도 한다.

 

 

 

 

 

 

 

 

 

 

 

 

 

 

reference

 

기능해부학

뉴만

www.sportsinjurybulletin.com/

 

오늘은 대흉근(큰 가슴근, pectoralis major)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대흉근은 흔히 말하는 갑빠입니다. 가슴의 볼륨감과 가슴골을 만들어 주는 근육이지요.

저를 비롯한 헬린이들이 많이 키우는 근육이기도 하죠.

아널드 형의 갑빠 보이시나요? 

아주 균형미 있게 채워진 모습입니다.

굉장히 큰 근육인 대흉근은 위와 같이 쇄골지 복 장지 흉 골지 복 근지 세 부분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그럼 해부학의 기초인 기시, 정지, 작용을 알아보겠습니다.

 

 

 -기시(이는곳, origin) - 3곳에서 기시 한다.

 

빗장뼈(쇄골, clavicle) 안쪽 1/2 부위

복장뼈(흉골, sternum) 전면

제2~7 갈비뼈(늘골, rib)의 갈비 연골(늑연골, costal cartilage)

 

 

 

 

 -정지(닿는 곳, insertion) - 위팔뼈(상완골, humerus)의 대결절(great tubercle)

 

 

 

 

 -작용(actions): 위팔뼈(상완골, humerus)의 안쪽 돌림(내회전 internal rotation)

                    위팔뼈(상완골, humerus)의 모음(내전, adduction)

                    위팔뼈(상완골, humerus)의 수평 모음(수평 내전, horizontal adduction)

대흉근의 빗장뼈 섬유>> 위팔뼈(상완골,humerus) 굽힘(굴곡, flexion)

대흉근의 복장뼈 섬유>> 위팔뼈(상완골,humerus) 굽힘(굴곡, flexion) 자세에서 폄(신전, extension)

대흉근의 갈비뼈 섬유>> 위팔뼈(상완골, humerus) 보완

 

 

대흉근 섬유에 따른 특징

대흉근의 전체적인 특징으로는 밀기, 뻗기, 던지기, 펀치와 같이 몸 앞에서의 움직임에 많이 관여합니다. 또한 대흉근은 아래 섬유 방향, 수평 섬유 방향, 위 섬유 방향으로 다양한 분절이 있어서 다양한 움직임을 가능하게 해 줍니다.

위쪽 또는 빗장뼈 섬유(쇄골지 섬유)주로 위팔뼈 굽힘(굴곡, flexion)을 하기 위해 다른 섬유와 함께 작용합니다.

쇄골지 섬유는 쇄골의 내측에서 상완골로 주행하여, 극상근과 같이 팔을 30도 외전에서 반대편 귀 쪽으로 향하여 상완 내전을 합니다. 이때 삼각근 전면부가 협력근으로 작용합니다. 또한 대흉근의 쇄골지에 대한 기능적 특징 중 하나는 어깨 관절의 내회전 상태에서 팔을 올리는 동작에서 근 활성화를 보입니다. 이러한 동작은 상체의 힘으로 무거운 물건을 들 때 팔을 겨드랑이에 붙여 대흉근의 쇄골지의 힘의 협력을 받아 더 강하게 들 수 있다. 따라서 대흉근을 이루는 근섬유 중 상지의 활동에 의한 협력근으로 가장 근수축이 많은 섬유가 대흉근의 쇄골지에 붙은 섬유이다 그래서 대흉근의 쇄골지 섬유는 충분한 휴식에 의한 스트레칭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단축성 수축활동에 의해 근육의 길이가 가장 짧아질 수 있는 섬유이다.

중간 또는 복장뼈 섬유(흉 골지 섬유)는 팔을 옆으로 올리는 외전 90도에서 가슴 쪽으로 모으는 위팔뼈(상완골, humerus) 수평에서 근수축이 강력하게 일어나는데 이 동작시 삼각근 중부 섬유가 강한 협력근으로 작용한다.

아래 또는 갈비뼈 섬유(복 근지 섬유)는 대흉근 섬유중 6~8번 늑골 주변에서 상완골 대결절로 모여있는 섬유이다. 머리 위 위치에서 또는 굽혀져 있는  위팔뼈(상완골, humerus)를 폄(신전, extension)할 때 작용합니다. 자세히 보면 어깨관절의 내회전, 90도 이상의 굴곡에서 반대편 가슴으로 내리는 동작에서 많이 활성된다. 이때 삼각근 고아 배근 전거근 외복사근이 강하게 협조합니다.

 

대흉근 일반적인 특징

대흉근의 큰 특징 중 하나는 상완골에 있는 부착부위 근처에서 근육의 뚜렷한 꼬임이 있다는 것입니다.

근육이 일자로 쭉 가다가 상완골 근쳐에서 한번 꼬여서 정지점에 붙어있는 형태입니다.

이런 모양의 특징은 어깨의 다양한 자세에서 각각 다른 섬유 등의 지렛대 역할을 유지합니다.

어깨를 완전히 굽힘 하면 먼쪽 부착부 근처에 있는 꼬임이 풀리고 폄 동작과 위팔뼈를 안쪽 돌림 하기 위해 이 근육을 준비시킵니다.  이는 특히 던지기, 치기, 스파이크 그리고 수영과 같은 강한 머리 위 움직임에서 중요합니다. 

광배근도 비슷한 꼬임이 있는데, 이것은 광배근과 대흉근이 협동 관계라는 증거가 됩니다. 이 두 개의 크고 강한 근육은 머리 위 자세에서 팔을 강제로 내릴 때 엄청나게 큰 힘을 만들기 위해서 대원근과 삼각근 후면 섬유와 함께 작용합니다.

 

대흉근은 팔로 몸의 체중을 지지할 때 가슴을 똑바로 유지하게 하기 위해 팔 이음 뼈(shoulder girdle, pectoral girdle)에 붙어 있는 근육과 함께 작용하며 이 근육은 평행봉이나 의자에서 몸을 들어 올릴 때 작용됩니다. 또한 이 근육은 사다리, 로프를 오를 때처럼 고정된 손 쪽으로 몸을 당기거나 머리 위에서 물건을 내릴 때 어깨를 모으기 위해 광배근, 대원근과 같이 작용합니다.

 

위치적으로는 대흉근 아래에는 림프절이 있어 유방암 발생 시에 림프절이 부어 유방암의 진단 지표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대흉근의 통증

각 섬유에 대한 TP와 방사통은 위 그림과 같으며 각 섬유의 통증 양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TP로 인한 통증은 스트레칭이나 근막 치료로 TP를 깨 주는 게 좋습니다.

 

쇄골지 - 팔을 올리거나 물체를 들어 올릴 때 어깨 앞쪽의 깊숙한 곳이 찌르는 듯한 통증과 손가락 저림. 

어깨의 통증이라고 어깨만 보기보다는 대흉근도 봐주느것이 좋습니다. 어깨 통증이 대흉근의 쇄골지 때문에 오는 경우도 많거든요. 대흉근의 쇄골지에 대한 섬유가 안 좋은 자세나 내회전의 우세로 삼각근 전면부 섬유와 함께 팔을 올릴 때 강하게 방해할 수 있습니다. 또 대흉근의 긴장으로 쇄골과 늑골로 빠져나가는 상완신경총의 폐색으로 팔의 내측과 3~5번째 손가락이 저릴 수 있습니다. 여기서 더 발전하면 TOS(흉곽출구 증후군)이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흉 골지 - 가슴 명치의 흉통. 

장기간 안 좋은 자세에 의한 대흉근의 단축성 긴장과 대흉근의 과 사용으로 인해 근 좌상으로 흉통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근육의 문제라면 스트레칭, 근막 치료로 치료될 수 있으나 심혈관계 문제일수도 있으니 전문의사의 검사와 진단이 선행 되어야 할 것입니다. 

 

복 근지 - 유두가 스칠 때 통증

유두의 과 민감성이 나타나며 통증 유발한다. 장기간 장 좋은 자세로 인해 대흉근이 단축성 긴장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근육의 문제라면 스트레칭, 근막 치료로 치료될 수 있으나 흉부와 유방의 문제일 수도 있으니 의사의 검사와 진단으로 구별이 선행되어야 할 것입니다.

 

 

 

 

 

 

 

 

 

 

오늘은 하부 승모근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아래는 승모근 전체를 간략하게 정리한 것입니다. 

 

승모근을 간략히 알아보고 중간 승모근의 특징을 알아보겠습니다.

 

흔히 승모근으로 불리는 이 근육은 신용어로는 등세모근으로 불리며 영어로는 trapezius이며

머리부터 목과 어깨 등 표면에 연모 양으로 덮여있는 매우 큰 근육입니다.

등세모근은 아래와 같이 세 부분으로 나누는데 이 세 부분은 각각 기시 정지 작용이 다릅니다.

해부학의 기초인 기시, 정지, 작용은 아래와 같다.

 

 

상부

 -기시: 후두골, 항인대,

        C1-5 극돌기

 -정지: 쇄골 외측 1/3

 -작용: 견갑거근, 능형근과 협력하여 어깨를 움츠리는 동작(어깨뼈 올림(거상))

          어깨뼈 상방 회전.

          머리와 목의 폄과 가쪽 굽힘 그리고 반대쪽 돌림.

 

 

중부

 -기시: 항 인대 하부

        T1-T5 극돌기, 극간 인대

 -정지: 견봉

        견갑 골극의 상연

 -작용: 어깨뼈 들임

         어깨뼈 상방 회전

 

 

하부

 -기시: T6~T12 극돌기

 -정지: 견갑극근

 -작용: 어깨뼈 내림

         어깨뼈 상방 회전

 

이제 하부 승모근의 특징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하부 승모근의 모양과 기시 정지 작용은 위와 같습니다.

하부 승모근 섬유 방향은 아래로 내림 방향이고 어깨뼈를 내림 작용시키고 상부 승모근과 하부 승모근은 어깨뼈를 위쪽으로 돌리기위해서 함께 작용하는데 이를 자세히 보면 하부 승모근은 팔을 옆으로 뻗어 90도 이상 외전시킬 떄  승모근 상부섬유가 견봉과 어깨뼈 외측을 잡고 올려주고, 승모근 하부섬유가 어꺠뼈 내측을 잡고 내리면서 어깨뼈를 상방회전을 도와줍니다.

또한 컴퓨터 생활과 스마트폰 등 현대사회에서의 자세적 문제로 하부승모근은 많이 약화되는 대표 근육 중하나입니다.

많이 들어보신 둥근 어깨(라운드 숄더 round shoulder)와 굽은 등(sway back) 같은 자세에서 보통 많이 약화되며 늘어나게 됩니다. 이렇게 근육이 정상 길이와 정상 작용을 하지 못하면 TP가 생기고 이로인해 방사통이 나타날수 있다. 잘 생기는 TP와 통증 경로는 위 사진과 같습니다.

라운드 숄더 같은 경우 대흉근 소흉근 상완이두근은 스트레칭이나 마사지로 풀어주고 중부 하부 승모근 경우에 따라서는 회전근개까지 근력운동을 하면 좋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물론 사람마다 진단하여 개별 치료해야 되는 게 기본입니다.

하부 승모근 운동

reference

뉴만 

 

 

오늘은 중간 승모근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아래는 승모근 전체를 간략하게 정리한 것입니다. 

 

승모근을 간략히 알아보고 중간 승모근의 특징을 알아보겠습니다.

 

흔히 승모근으로 불리는 이 근육은 신용어로는 등세모근으로 불리며 영어로는 trapezius이며

머리부터 목과 어깨 등 표면에 연모 양으로 덮여있는 매우 큰 근육입니다.

등세모근은 아래와 같이 세 부분으로 나누는데 이 세 부분은 각각 기시 정지 작용이 다릅니다.

해부학의 기초인 기시, 정지, 작용은 아래와 같다.

 

 

상부

 -기시: 후두골, 항인대,

        C1-5 극돌기

 -정지: 쇄골 외측 1/3

 -작용: 견갑거근, 능형근과 협력하여 어깨를 움츠리는 동작(어깨뼈 올림(거상))

          어깨뼈 상방 회전.

          머리와 목의 폄과 가쪽 굽힘 그리고 반대쪽 돌림.

 

 

중부

 -기시: 항 인대 하부

        T1-T5 극돌기, 극간 인대

 -정지: 견봉

        견갑 골극의 상연

 -작용: 어깨뼈 들임

         어깨뼈 상방 회전

 

 

하부

 -기시: T6~T12 극돌기

 -정지: 견갑극근

 -작용: 어깨뼈 내림

         어깨뼈 상방 회전

 

이제 중간 승모근의 특징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중간 승모근의 모양과 기시 정지 작용은 위와 같습니다.

중부 승모근은 수평면상의 섬유 방향으로 구성되어있고 마름근과 같이 협력하여 어깨뼈를 들임(scapular retraction) 시킵니다. 이러한 섬유의 방향으로 주기능이 등 뒤쪽으로 어깨가 제쳐지는 어깨뼈 들임(scapular retraction)이고 양측에서 작용하면 양쪽 어깨뼈가 척추 방향으로 모여들면서 전면의 흉곽이 확장되면서 가슴이 열리는 동작이 나타난다.

중부 승모근의 길항근으로는 대흉근이 있다.

현대인들은 보통 어깨가 말려들어가는 둥근 어깨 (round shoulder)를 많이 가지고 있는데 이 둥근 어깨는 이두근과 대흉근, 소흉근의 단축이 동반되며 이와 반대되는 중간 승모근과 하부 승모근은 늘어나는 경향이 많다. 

이와 같이 자세가 불균형 해지고 근육이 제 길이와 기능을 하지 못하면 TP가 생길 수 있고 TP가 생기면 통증을 유발한다.

이럴 경우 시진과 촉진 동작 검사로 판별하여 TP문제시에는 해당 TP를 찾아 TP를 깨 주는 것이 좋을 수 있다.

 

 

중부, 하부 승모근의 TP

증상 >> 뒷목 중앙이 무겁고 화끈거린다. 날개 죽지가 쓰리고 따갑다.

 

오늘은 상부 승모근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아래는 승모근 전체를 간략하게 정리한 것입니다. 

 

승모근을 간략히 알아보고 상부 승모근의 특징을 알아보겠습니다.

 

흔히 승모근으로 불리는 이 근육은 신용어로는 등세모근으로 불리며 영어로는 trapezius이다.

머리부터 목과 어깨 등 표면에 연모 양으로 덮여있는 매우 큰 근육이다.

등세모근은 아래와 같이 세부분으로 나뉜다. 이 세 부분은 각각 기시 정지 작용이 다르다.흔히 승모근으로 불리는 이 근육은 신용어로는 등세모근으로 불리며 영어로는 trapezius이며

머리부터 목과 어깨 등 표면에 연모 양으로 덮여있는 매우 큰 근육입니다.

등세모근은 아래와 같이 세 부분으로 나누는데 이 세 부분은 각각 기시 정지 작용이 다릅니다.

 

 

 

 

 

해부학의 기초인 기시, 정지, 작용은 아래와 같다.

 

상부

 -기시: 후두골, 항인대,

        C1-5 극돌기

 -정지: 쇄골 외측 1/3

 -작용: 견갑거근, 능형근과 협력하여 어깨를 움츠리는 동작(어깨뼈 올림(거상))

          어깨뼈 상방 회전.

          머리와 목의 폄과 가쪽 굽힘 그리고 반대쪽 돌림.

 

 

중부

 -기시: 항 인대 하부

        T1-T5 극돌기, 극간 인대

 -정지: 견봉

        견갑 골극의 상연

 -작용: 어깨뼈 들임

         어깨뼈 상방 회전

 

 

하부

 -기시: T6~T12 극돌기

 -정지: 견갑극근

 -작용: 어깨뼈 내림

         어깨뼈 상방 회전

 

 

이번 시간은 상부 승모근에 대해서 알아보자!

상부 승모근은 섬유의 방향이 위쪽 방향이고 견갑거근, 능형근과 협력하여 어깨를 움츠리는 동작이나 어깨뼈를 올림 하는 동작을 만든다. 또한 상부 승모근은 목과도 연결되어 있어서 머리와 목의 폄과 가쪽 굽힘 그리고 반대쪽 돌림에 작용한다.

이 상부 승모근은 어깨 뭉침의 주범이며 특히 겨울철에 말썽인데 이는 상부 승모근이 온도에 민감하기 때문이다.

추운 겨울에는 어깨를 움츠리게 되어 상부 승모근의 활성을 높이며 또 외투의 무게가 무거워져 견갑거근과 상부승모근의 활성을 높여 통증을 일으킨 수 있다.

여러 가지 활성을 높이는 경우가 있는데 습관적으로 어깨를 올리는 동작, 전화를 목에 끼고 받는 동작, 바이올린과 플루트 같은 악기 연주자세, 고개를 한쪽으로 돌리고 오래 있는 동작 등이 있다.

 

이렇게 활성이 높아지면 근육에 TP가 생길 수 있고 이는 통증을 야기할수 있다. 

승모근의 TP와 통증 범위는 다음과 같다.

상부 승모근의 TP1의 증상은 머리로 퍼지는 두통이며 관자놀이 주변으로 통증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다.

신경성 두통의 원인 중 하나로 흉쇄유돌근과 같이 어지럼증을 일이 킬 수도 있다. 그래서 어지러움증 환자들은 상부 승모근과 흉쇄유돌근을 검사해주는 것이 좋다.

TP2는 그림과 같이 뒤통수 근처로 통증이 나온다.

이러한 경우 TP를 지압하거나 마사지하여 TP를 깨 주는 것이 좋을 수 있다.

+ Recent posts